• 아시아투데이 로고
ESG 채권 발행 감소…공기업 ‘사회적 가치’ 인기 하락

ESG 채권 발행 감소…공기업 ‘사회적 가치’ 인기 하락

기사승인 2022. 07. 13. 06: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본지, 발전 6사 ESG 채권 살펴보니
남동발전·동서발전 작년보다 줄어
한수원은 올 상반기까지 발행 '0'
서부·중부발전만 발행액 증가
"경영평가서 사회적 가치 비중 축소
공기업 ESG 열기 시들해질듯" 분석
basic_2021
한국전력 산하 발전 자회사인 한국서부발전과 한국중부발전의 올해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채권 발행 실적이 이미 지난해 전체 규모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수력원자력은 올 상반기 ESG 채권을 단 한건도 발행하지 않았고, 한국남동발전은 규모를 대폭 줄였다.

업계에서는 정권교체로 공기업 경영평가 항목에서 '사회적 가치' 비중이 대폭 하향조정되면서 ESG 투자열풍이 시들해질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본다. 일각에서는 ESG 채권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12일 아시아투데이가 한국남동발전·한국남부발전·한국동서발전·한국서부발전·한국중부발전·한국수력원자력 등 한전 산하 발전6사의 올해 ESG 채권 발행 기록을 살펴본 결과, 동서발전과 서부발전·중부발전이 이미 지난해 전체 실적을 넘어섰다. 지난해 발전6사의 ESG 채권 발행 규모는 1조9100억원이다.

동서발전은 올해 상반기에만 8109억의 ESG채권을 발행해 전년 대비(3800억원) 113.39% 증가했다. 서부발전은 3200억원의 ESG 채권을 발행했다. 이는 전년(2700억원) 대비 18.51% 증가한 수치다. 중부발전도 올 상반기 1600억원의 ESG 채권을 발행했다. 전년(1500억원) 대비 6.67% 늘어난 규모다. 액수로 보면, 동서발전이 1위를 달리고 있고 뒤를 이어 △서부발전(3200억원) △남부발전(2500억원) △동서발전(1800억원) △중부발전(1600억원) △남동발전(1400억원) △한수원(0원) 순이었다

동서발전은 지난해 발행한 ESG 채권은 신재생에너지 사업·에너지신사업·고효율 가스복합 발전소 건설 등에 사용했다. 서부발전은 올해 ESG 채권을 8000억원 규모로 발행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김포열병합 및 신재생 건설사업 용도로 사용하겠다는 전략이다. 지난해에는 스웨덴클라우드풍력사업 등 신재생 건설 목적으로 사용했다.

중부발전은 올해 발행한 ESG 채권을 녹색 사업 및 사회 경제적 발전 지원사업에 사용하겠다는 방침이다. 녹색사업은 풍력·태양광·연료전지 등 발전사 준공에 쓰고, 사회경제적 발전 지원사업은 지역경제 활성화·사회공헌·일자리 창출에 투자하게 된다.

다만 발전6사 중 한수원이 올해 상반기까지 ESG 채권을 단 한건도 발행하지 않았다. 지난해 한수원은 2400억원의 ESG 채권을 발행한 바 있다. 한수원은 현재 환경부 주관 '녹색분류체계 적용 시범사업' 참여 중이며, 현재 시범사업 일정에 따라 녹색채권 발행 준비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지난해 발행한 ESG 채권은 신재생 설비투자·중소협력업체 지원 등에 사용 중이다. 한수원은 올해 11월 지난해 발행한 ESG채권의 자금사용 내역에 대해 공개할 계획이다.

남동발전은 ESG 채권 발행 규모를 줄였다. 남동발전은 지난해에만 5900억원의 ESG 채권을 발행하면서 발전6사 중 1위를 차지했지만, 올 상반기까지 1400억원 발행에 그쳤다. 지난해 발행한 채권은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구매와 고효율 친환경발전소 업그레이드(환경설비개선공사) 자금으로 사용했다.

한전 발전자회사들은 지난해 ESG 경영이 확산하면서 앞다퉈 ESG 채권 발행에 나섰다. 하지만 윤석열 정부 들어 공기업 경영평가에서 사회적 가치 비중을 예전 수준으로 되돌리는 대신, 재무건전성 항목 비중을 대폭 높이면서 공기업 ESG 경영 열기도 시들해질 전망이다. 여기에다 ESG 채권의 투명성과 신뢰도에 대한 지적도 끊이지 않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사실 ESG는 과거 CSR, 사회적 책임 경영 등 수많은 다른 이름으로 불려왔다"며 "문재인 정부 당시 갑자기 ESG 바람이 불면서 기업들도 ESG 채권을 앞다퉈 발행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하지만, ESG 채권의 자금 사용에 대한 투명성과 신뢰도가 현저히 낮은 건 사실"이라며 "자금 사용에 대한 투명성과 신뢰도를 제고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