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공공기관 긴축’ 기조에 BIFC 3단계 14개 층 텅 빌 판

이은철 기자 euncheol@busan.com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1단계 포화 문제 해결 기대감에
공공기관 줄줄이 “업무공간 입주”
최근 정부 긴축 기조로 돌아서자
입주 의사 철회 잇따를 우려 커져
디지털 금융 기지도 차질 불가피

정부의 공공기관 긴축 기조로 전체규모의 3분의 1에 달하는 14개 층이 빌 위기에 처한 부산 남구 문현동 BIFC(부산국제금융센터) 복합사업개발 3단계(사진 아래 가운데 공사 현장) 일대 모습. 정종회 기자 jjh@ 정부의 공공기관 긴축 기조로 전체규모의 3분의 1에 달하는 14개 층이 빌 위기에 처한 부산 남구 문현동 BIFC(부산국제금융센터) 복합사업개발 3단계(사진 아래 가운데 공사 현장) 일대 모습. 정종회 기자 jjh@

포화 상태로 심각한 업무 능률 저하를 겪고 있는 부산 이전 공공기관 일부가 2025년 말 완공 예정인 부산국제금융센터(BIFC) 3단계에 사무실을 분양받을 예정이었지만 정부의 공공기관 긴축 기조로 난항을 겪고 있다. 이들 기관은 BIFC 3단계 입주가 확정된 핀테크, 블록체인 기업의 앵커 역할을 맡아 금융중심지 부산의 새 비전인 디지털 금융을 함께 그려나갈 예정이었지만 이 계획에도 큰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7일 〈부산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BIFC 3단계에는 핀테크와 블록체인 기업이 입주할 지식산업센터(22개 층)와 부산은행, 시스템, 캐피탈, 신용정보 등 BNK금융지주 계열사(4개 층) 외에 근린생활시설, 직장 어린이집 등의 입주가 확정된 상태다.

하지만 전체 규모에 3분의 1에 달하는 14개 층은 여전히 비어있다. 당초 BIFC 1단계에 입주했으나 직원 증가 등으로 공간 부족 문제를 겪고 있는 부산 공공기관 일부가 입주할 예정이었으나 공공기관 경영 효율화라는 이유로 정부가 긴축 재정 기조를 이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앞서 기획재정부는 지난 9월 정부가 공공기관의 부채 비율(자산 대비 부채 비율)을 올해 214.3%에서 2027년 188.8%까지 낮추는 등의 긴축 재정 기조를 담은 ‘2023~2027년 공공기관 중장기 재무관리계획’을 국회에 제출한 바 있다.



금융중심지 부산을 이끌어가는 부산 소재 공공기관은 BIFC 1단계 포화 문제로 심각한 업무 능률 저하 문제를 겪고 있다. 근무자의 95%를 차지하는 6개 공공기관의 근무자는 총 3126명으로 이들이 최초 이전 계획서를 수립할 때와 최초 입주할 때 인원이 2033명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초과율이 53%에 달하는 상황이다.

실제 부산연구원에서 실시한 기존 이전 공공기관 추가 소요 업무공간 추정 자료에 따르면,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예탁결제원, 한국남부발전, 한국주택금융공사, 주택도시보증공사 등의 본사 근무 인원 증가로 2024년에는 총 3만 7538㎡의 추가 업무 공간이 필요하다.

이에 해양진흥공사, 예탁결제원, 남부발전, 한국주택금융공사 등은 일찍이 2021년 BIFC 3단계 입주 의향서를 제출했지만, 이후 진척이 없다. 더 큰 문제는 디지털 경제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통해 동북아 금융 허브로 성장한다는 금융중심지 부산의 전략에도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점이다.

이처럼 심각한 상황에도 정부는 공공기관 효율화를 이유로 각 기관 사정을 고려하지 않은 일괄적 ‘허리띠 졸라매기’를 강요하고 있어 이를 비판하는 목소리가 분출한다. 익명을 요구한 부산 공공기관 고위 관계자는 “예산권과 회사 평가 권한을 쥐고 있는 기획재정부의 눈치를 알아서 살필 수밖에 없다”면서 “금융중심지 부산의 디지털금융 역량을 강화하겠다 하고선 긴축 재정을 요구하는 것은 모순된다”고 호소했다.


이은철 기자 euncheol@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